Subscribe to New Posts

Lorem ultrices malesuada sapien amet pulvinar quis. Feugiat etiam ullamcorper pharetra vitae nibh enim vel.

Subscribe Zalgritte's Blog cover image
Zalgritte profile image Zalgritte

디자이너인 내가 개발을 배우는 이유

디자이너인 내가 개발을 배우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프로덕트 디자이너였던 나는 학부생 시절, 좀더 현실적이고 실제 구동되는 프로덕트에 대한 갈망이 있었다. 그래서 Figma를 비롯한 여러 툴들로 프로토타이핑을 하기 시작했고, 노코드(No-Code) SaaS 툴을 활용해 직접 웹사이트를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그 갈증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ChatGPT라는 AI 서비스가 주목받던 시기에 나는 운 좋게도 AI 관련 스타트업에 입사하게 되었고, 점차 AI의 물결이 내 일과 삶 전반에 변화를 가져다주기 시작했다. AI는 직군 간 장벽을 허물었고, 내가 모르는 것을 실시간으로 답변해주면서 ‘개발’이라는 세계로 나아가는 든든한 조력자가 되었다.

무엇보다도 내가 개발을 배우려는 가장 큰 이유는, “앞으로 디자인의 언어가 코드가 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전통적인 시각 언어가 사라지거나 대체된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코드를 읽고 쓰는 데에 AI가 도움을 주는 지금, 디자이너가 좀더 깊은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믿는다.
이미 전 세계 곳곳의 프로덕트 디자이너들은 스스로 개발을 배우고 있다. 더 나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협업 과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개인의 창작적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 말이다. AI 시대에는 예전보다 훨씬 더 깊은 수준의 퀄리티가 요구될 것이고, 서로 다른 역량을 가진 사람들이 폭넓게 협업하는 ‘T자형’ 인재상이 주목받게 될 것이다.

이제는 메이커(Maker)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직군이 서로의 영역을 넘나들며 함께 작업하고 있으며, 디자이너인 나 또한 그 변화의 흐름을 반기고 있다. 예전에는 엄두도 내지 못했던 인터랙티브 웹사이트나 간단한 게임을 직접 만들어보기도 한다. AI가 우리 손에 쥐어준 새로운 도구들은 상상 속 아이디어를 실제로 구현할 수 있게 해주고, 우리는 그 속에서 더 나은 제품과 경험을 고민할 수 있게 된다.

1. 디자인의 언어, 코드가 되다

디자인은 늘 문제 해결을 위한 ‘언어’를 찾는 과정이었다. 과거에는 시각적 요소나 사용자 경험(UX)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여기에 ‘코드’라는 또 하나의 언어가 더해지고 있다. 프로덕트가 실제로 동작하려면, 어느 시점에는 반드시 코드를 통해 구현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디자이너가 이 과정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다면, 문제 해결의 폭은 훨씬 넓어진다.

2. AI 시대의 협업과 커뮤니케이션

AI 도구들이 점점 발전하면서, 개발에 대한 진입장벽은 낮아지고 있다. 간단한 코드 수정이나 프로토타입 구현 정도는 AI의 도움으로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 이는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원활하게 만들고, 서로 간의 협업을 촉진한다. 디자이너가 “이 부분은 이렇게 수정할 수 있을까?”라고 물을 때, 구체적인 코드를 제안할 수 있다면 소통 비용은 훨씬 줄어들게 된다.

3. 프로토타이핑의 현실감 극대화

피그마 등 디자인 툴을 활용한 프로토타이핑은 쉽고 빠르다. 그러나 실제 동작하는 형태와는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디자이너가 직접 코드를 다루어보면, 구현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제약이나 데이터 흐름, 성능 이슈 등을 직접 체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토타입의 현실감이 극대화되고, 최종 결과물에 더 근접한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다.

4. T자형 인재로의 성장

AI 시대에는 한 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T자형의 ‘수직 축’)과 여러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넓은 이해(T자형의 ‘수평 축’)를 함께 갖춘 인재가 더욱 중요해진다. 디자이너가 개발을 배우는 것은 결국 T자형 인재로 성장하는 길이라 볼 수 있다. 디자인 역량을 기반으로 하되, 개발과의 접점을 넓히고 기술적 이해도를 높인다면,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5. 메이커 문화와 융합 능력

Product Maker, Problem Solver 등 여러 이름으로 다양한 직군을 묶어서 프로덕트를 만들고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으로 통합되어 표현하기도 한다. 디자인과 개발을 함께 아우를 수 있는 능력은, 이처럼 빠르게 변하고 융합되는 시대에 강력한 무기가 된다. 디자이너가 직접 프로토타입을 웹이나 앱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면, 혼자서도 완결된 결과물을 만들어볼 수 있다는 의미다.

6. 미래 패러다임 변화와 대응력

AI가 가져올 미래는 아직 아무도 정확히 예측할 수 없지만, 확실한 것은 직군 간 경계가 더 모호해질 것이라는 점이다. 디자이너가 개발에 대한 이해를 갖추고 있다면, 다양한 시나리오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새로운 도구나 기술이 등장했을 때도 빠르게 흡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경쟁력과 개인의 커리어 경쟁력 모두를 높일 수 있다.

결론

나는 디자이너로 시작했지만, 코드를 배우며 더욱 넓은 시야를 갖출 수 있게 되었다. 전문적인 개발자 수준은 아니더라도, AI의 도움을 받아 인터랙티브 웹사이트나 간단한 게임 등을 만들어보면서 무언가를 ‘직접 움직이고 동작하게 하는 ’경험을 해보았다.
앞으로도 AI와 함께할 미래는 더욱 빠르게 변할 것이다. 그 변화 속에서 디자이너가 설계한 아름다운 사용자 경험이 실제 코드로 구현되고, 나아가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나는 그 과정을 기꺼이 즐기고자 한다.
디자인의 언어가 확장되고, 그 언어에 코드를 추가하는 일이 더이상 낯설지 않은 시대. 디자이너가 개발을 배우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더 좋은 경험과 가치를 만드는 것’이라는 점이 될 것이다.

Zalgritte profile image Zalgritte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근무했습니다. 현재는 프론트엔드 개발을 배우고 있습니다. 인터랙티브 웹을 좋아합니다.